전공교육과정 인증제도는 전공 교육과정 공통프레임워크에 따라 전공별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 평가 및 환류한 실적을 평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을 충족하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외부교육인증원(한국공학교육인증원/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한국경영학교육인증원)에서 평가인증을 받은 학부(과)를 제외한 교내 학부(과) 및 전공을 대상으로 하여 자체 교육 품질 관리를 위해 개발된 전공교육과정 평가인증 체계임

사업의 배경
- 대학혁신지원사업 2주기에서 대학의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직무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 및 개발할 것을 요구함
- 직무역량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 환류 등의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질 관리 체계의 구축과 운영 기반 마련
- 산업체 수요, 인력수급 전망, 취업수요 등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대학 교육과정에 적용
사업의 목표
- 전공교육과정 개편 및 성과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직무역량을 제공하는 전공교육 품질 향상
- 산업체와 사회가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갖춘 인재양성
추진 현황 및 성과
-
전체 추진 현황 요약
전공교육과정 공통프레임워크
모든 학과에서 전공교육과정 각 공통영역에 따른 구성요소별로 관련 교과목을 편성함으로써 교과목과 전공영역간의 상호연계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전공능력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구축
직무별 전공로드맵
학과별 교육목적, 교육목표, 인재양성유형, 구체적인 직무 및 직무역량을 기반으로 도출된 전공능력(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이 수직적, 수평적 원리에 의해 체계화된 전체적인 계획을 제시
전공교육과정 인증제도
고등교육 기관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인증의 단계를 전공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성과로 설정하였고, 전공 교육과정 개발 프로세스와 긴밀한 연계성을 바탕으로 인증제도 모형 도출
-
교육과정 인증제도